경제/경제뉴스

DeepSeek의 등장과 엔비디아 급락

tivo 2025. 1. 28. 01:40

엔비디아 주가가 약 14% 급락하는 것을 보고, 혹시 얼마 전 공개된 deepseek의 여파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
 

Reddit을 비롯한 여러 커뮤니티를 확인한 결과, deepseek 공개로 인해 시장에 우려가 생기며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여론이 있었습니다.

 

deepseek의 기술 보고서에 따르면, 개발 비용은 약 78억 원으로 추산되며, 이 과정에서 엔비디아의 H800 GPU가 사용되었습니다. 이는 메타가 개발한 AI 모델인 Llama 3H100 GPU로 훈련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입니다.

엔비디아 주가 14% 하락

 

deepseek가 어떤 성능을 보여줬기에 엔비디아와 같은 대기업에 14% 하락이라는 큰 영향을 미쳤는지 직접 확인해보고자 합니다.

 

deepseek는 아래 링크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:

https://chat.deepseek.com/

 

회원가입 또는 구글 로그인을 통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deepseek 로그인화면

 

로그인 후에는 ChatGPT와 유사한 화면이 나타납니다. 채팅형 AI의 특성상 UI/UX가 비슷하게 구현되는 한계 때문인지, 혹은 ChatGPT를 참고하여 설계된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.

 

deepseek의 실질적인 성능과 차별성을 직접 체험하며 확인해보려 합니다.

deepseek 화면

 

 

[숫자 질문] deepseek vs openai

deepseek와 OpenAI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간단한 숫자 비교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.

OpenAI의 ChatGPT는 유료 버전인 GPT-4o를 사용했으며, deepseek는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한 일반 버전을 사용했습니다.

 

놀랍게도, 단순한 숫자 비교 질문에서 Deepseek는 정답을 제공한 반면, ChatGPT(GPT-4)는 오답을 제시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.

 

[deepseek 답변]

deepseek 응답

 

[ChatGPT 답변]

chatgpt 응답

 

[창의력 테스트] deepseek vs openai

이번에는 deepseek와 ChatGPT에게 "엔비디아"라는 주제로 4행시를 짓게 해보았습니다. 각각의 시를 통해 두 AI의 개성과 창의성을 엿볼 수 있었는데요, 결과가 꽤 흥미로웠습니다.

 

deepseek와 chatgpt 모두 "엔비디아"라는 주제를 각자의 방식으로 잘 풀어냈습니다.  ChatGPT는 유머와 기술적인 요소를, DeepSeek은 감성적인 점에서 각각의 개성이 두드러졌습니다.

 

[deepseek 답변]

 

[ChatGPT 답변]

 

[숫자 패턴 테스트] deepseek vs openai

주어진 숫자 1, -3, 5, -7, 9, -11의 패턴을 잘 찾아내는지 확인해보았습니다.

 

deepseek와 ChatGPT 모두 숫자 배열의 패턴을 정확히 분석하여, 다음 숫자를 예측하는 데 성공했습니다. 이 결과로 보아, 두 AI 모두 기본적인 수열 분석 능력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.

 

숫자 패턴 분석은 AI 성능 비교의 기본적인 부분이지만, 두 모델 모두 이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숫자 관련 질문은 생략했습니다.

 

 

[deepseek 답변]

 

[ChatGPT 답변]

 

결론

DeepSeek가 ChatGPT 4o과 비교했을 때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. 다만, 특정 영역에서는 DeepSeek이 더 정교한 성능을 보이는 반면, 이미지 생성 및 인식 등에서는 ChatGPT 4o이 강점을 보여주는 모습입니다.

 

다만 ChatGPT 4o의 개발 비용이 DeepSeek과 비교했을 때 100배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입니다.

 

이와 같은 상황에서 두 모델의 성능 차이가 크지 않다면, 이는 미국 빅테크 AI 업계에 위기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습니다. 특히, 엔비디아의 고성능 GPU가 더 이상 필수적이지 않다는 우려가 나오면서, 이번 주가 14% 하락의 주요 원인이 된 것 같습니다.

 

실제로 DeepSeekChatGPT 4.0의 성능 비교 자료를 살펴보면, 두 모델이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확인됩니다.

 

 

다만, 빅테크 기업들의 강점은 방대한 데이터에 있기 때문에, 이런 변화 속에서도 상황을 잘 헤쳐나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.

 

단일 종목 투자에 따른 리스크가 부담스러워 ETF를 선택한 저는 앞으로도 더욱 안정적인 투자를 이어갈 것 같습니다.

 

다만, YMAG 배당금을 활용한 M7 종목 투자는 불로 소득이라 생각하고, 계획대로 진행할 예정입니다.

 
 

'경제 > 경제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24년 한국인 순매수 TOP 10 미국 주식  (0) 2025.01.27